'학점은행제'는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학습을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이것이 누적되어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면 학위취득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열린 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사회적 수요와 국민들의 필요를 반영하면서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토대로 국민들에게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온 비정규 교육기관에 대한 국가적인 차원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그 기관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공적 인정이 요청되었습니다.
UNESCO와 OECD주요국에서는 학교에서의 경험과 직장에서의 경험이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교육체계를 전환시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더 나아가 비정규 교육기관에서의 학습경험을 공적으로 인정함으로써 다양한 학습경험이 어느 기관에서든 상호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체제를 갖추어 나가고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국민들의 학습경험을 공적으로 인정함으로써 국민 전체의 교육력을 제고하고,더 나아가 열린 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것이 21세기 정보화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생각합니다.
01
국민의 다양한
학습기회 보장을 통한
학습권 보장
02
국민교육 불수혜집단을 위한
대안적 방식의
고등 교육기회
제공
03
교육력 극대화를 위한
사회교육과 학교 교육간의
연계강화
04
지시와 통제지향의
교육체계로부터 지원과
조정지향의
교육체계로 전환
날짜 | 내용 |
---|---|
1995년 5월 31일 | 교육계획위원회의 교육개혁안에서 신교육체제의 비젼을 누구나,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진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의 건설”로 설정하고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하나로 학점은행제 도입 건의 |
1997년 1월 13일 | 「학점인정등에 관한 법률(제 5275호)」제정, 공포 |
1997년 9월 11일 | 동법률시행령(대통령령 제 15478호) 제정, 공포 |
1998년 2월 28일 | 동법률시행규칙(교육부령 제 713호) 제정, 공포 |
1998년 3월 | 61개 교육훈련기관에서 274개 학습과목을 시범적으로 운영 |
1998년 9월 | 181개 교육훈련기관, 1,319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1998년 3월 | 181개 교육훈련기관, 1,746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1999년 8월 | 학점은행제 학위 수여 34명(학사학위 25명, 전문학사학위 9명) |
1999년 9월 | 264개 교육훈련기관, 3,051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0년 2월 |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650명(학사학위 111명, 전문학사학위 539명) |
2000년 3월 | 323개 교육훈련기관, 4,417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1년 2월 | 제2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1,729명(학사학위 267명, 전문학사학위 1,462명) |
2001년 3월 | 369개 평가인정기관, 6,465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2년 2월 | 제3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3,280명(학사학위 718명, 전문학사학위 2,562명) |
2002년 3월 | 371개 평가인정기관, 8,667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3년 2월 | 제4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5,686명(학사학위 1,288명, 전문학사학위 4,398명) |
2003년 3월 | 402개 평가인정기관, 10,694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4년 2월 | 제5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6,216명(학사학위 2,236명, 전문학사학위 3,980명) |
2004년 3월 | 447개 평가인정기관, 13,288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5년 2월 | 제6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7,733명(학사학위 4,751명, 전문학사학위 2,982명) |
2005년 3월 | 449개 평가인정기관, 14,844개 학습과목 운영으로 확대 |
2006년 2월 | 제7회 학점은행제 학위수여 11,299명 (학사학위 7,562명, 전문학사학위 3,737명) |
2006년3월 01일 | 463개 교육훈련기관(전공단위 40개 기관 포함), 15,359개 학습과목 |
2006년 8월 31일 | 2006년도 하반기 학위수여 (학사: 5,320명, 전문학사: 920명) |
2006년 9월 1일 | 286개 교육훈련기관, 4,627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07년 1월 26일 | 제12차 표준교 육과정 및 제14차 교수요목 고시 (210개 전공, 4,542개 학습과목) |
2007년 2월 26일 | 제8회 학위수여식 개최(학사: 12,624, 전문학사: 4,177명) |
2007년 3월 1일 | 전공단위 평가인정, 21개 교육훈련기관 |
2007년 4월 1일 | 원격교육 평가인정, 8개 교육훈련기관, 64개 학습과목 |
2007년 8월 31일 | 2007년도 하반기 학위수여 (학사: 8,081명, 전문학사: 1,315명) |
2007년 9월 1일 | 317개 교육훈련기관, 4,855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07년 12월 14일 | 평생교육법 개정에 따른 학점은행제도 시행기관 변경 |
2008년 2월 15일 | 평생교육진흥원 개원(초대원장: 박인주) |
2008년 3월 1일 | 전공단위 평가인정, 15개 교육훈련기관 |
2008년 3월 1일 | 원격형태 평가인정, 4개 교육훈련기관, 42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09년 2월 5일 | 제14차 표준교육과정 및 제16차 교수요목 고시 |
2009년 2월 23일 | 2009년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학위수여식 개최 (학사 19,315명, 전문학사 8,710명) |
2009년 3월 1일 | 306개 교육훈련기관, 5,135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전공단위 11개 교육훈련기관 평가인정 |
2009년 3월 1일 | 전공단위 평가인정, 11개 교육훈련기관 |
2009년 8월 31일 | 2009년도 하반기 학위수여(장관 학위수여 - 학사 : 12,127명, 전문학사 : 4,923명) |
2009년 9월 1일 | 원격교육 신규 평가인정 23개 교육훈련기관, 166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0년 2월 23일 | 2009년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학위수여식 개최(장관 학위수여 - 학사 : 17,744명, 전문학사 : 12,198명) |
2010년 02월 26일 | 제15차 표준교육과정 및 제17차 교수요목 고시(217개 전공, 4,984개 학습과목) |
2010년 3월 1일 | 322개 교육훈련기관, 5,168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0년 3월 1일 | 전공단위 평가인정, 42개 교육훈련기관 |
2010년 3월 1일 | 원격교육 재평가인정, 4개 교육훈련기관, 31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0년 8월 19일 | 제16차 표준교육과정 및 제18차 교수요목 고시(217개 전공, 6,074개 학습과목) |
2010년 9월 1일 | 원격교육 평가인정, 62개 교육훈련기관, 660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1년 3월 1일 | 294개 교육훈련기관, 5,124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1년 3월 1일 | 전공단위 평가인정, 18개 교육훈련기관 |
2011년 3월 1일 | 원격교육 재평가인정, 8개 교육훈련기관 52개 학습과목 평가인정 |
2011년 3월 22일 | 제17차 표준교육과정 및 제19차 교수요목 고시(218개 전공, 6,111개 학습과목) |